동아시아학과 East Asian Studies

Photo

엄구호 교수 Eom, Gu Ho

학과장

 러시아정치경제, 유라시아지역학

학력  
경력  
연구분야  
주요논문  
주요저서  
학회활동  
Photo

민귀식 교수 Min, Gui Shik

동북아트랙

중국경제, 중국에너지, 중국정치,정치사상, 정치문화

학력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졸업(1989, 학사)
중국사회과학원 법학과 졸업(2004, 석사)
중국사회과학원 법학과 졸업(2007, 박사)
경력 국회 의원회관(1989-2000)
한양대 중국문제연구소 연구교수(2008~2013)
한양대 국제학대학원 조교수(2013~202019)
한양대 국제학대학원 부교수(2019~현재)
한양대학교 중국문제연구소 소장(2021~현재)
연구분야 중국정치, 정치사상, 중국 고대정치제도 및 문화, 중국경제
주요논문 The Study on the New Structure of Global Energy Politics and Foreign Petroleum Strategy of China (2007, 박사논문)
중국외교협상에서 전통문화요인의 영향력 탐색(2009)
중국의 전통협상술과 현대외교협상(2010)
재중 장기체류자의 문화갈등 유형과 대중국인식의 변화(2010)
농업세폐지 이후 중국향진정부 직능전환 평가(2010)
현대중국 권위주의정치의 전통정치문화 요소 탐구(2012)
중국전통지식인과 정치사회권력 관계에 대한 역사적 고찰(2012)
후농업세시대 중국 향진정부 거버넌스 변화(2015)
중국식 여성할당제의 적용(2015)
Urban Planning and Residential Environment Changes in Beijing(A&HCI)
중국 일대일로 거점도시별 산업특화에 따른 발전전략(2016)
중국 징진지 도시군 지역발전과 산업 특징에 관한 연구(2017)
‘전략적 집단’ 중국 현・향진 영도간부의 행위기제 연구(2018)
중국 해상실크로드와 해양물류네트워크 구축전략(2018)
중국 해상실크로드와 항만네트워크 전략(2019)
남중국해에서 미·중 회색지대전략 경쟁에 대한 베트남과 필리핀의 대응(2021)
RELATIONSHIP BETWEEN VACCINATION IN COVID-19 AND THE NUMBER OF PATIENTS AND SERIOUS ILLNESSES IN THE REPUBLIC OF KOREA FROM A FINANCIAL RISK TRANSMISSION PERSPECTIVE: AN ANALYSIS BASED ON VAR MODEL(2022. SCI)
주요저서 협상은 문화다(2011. 고려원북수, 공저)
중화전통과 현대중국(2012, 섬앤섬, 공저)
한중관계와 문화교류 - 양국 장기체류자의 문화갈등과 적응(2013, 이매진, 공저)
동아시아 공동번영과 한반도 평화(2019, 한울아카데미, 공저)
유라시아와 일대일로 : 통합, 협력, 갈등(2019, 한울아카데미, 공저)
중국과 아세안Ⅰ- 긴장과 협력의 이중성(2022, 한울아카데미, 공저)
중국과 아세안Ⅱ- 상호의존과 경제협력(2022, 한울아카데미, 공저)
학회활동 중국정치연구회 위원장(2017)
현대중국학회 총무위원장(2009)
현대중국학회 회장(2024)
Photo

문흥호 명예교수 Moon, Heungho

명예교수
중국 외교·안보, 한중관계,북중관계, 중국외교

학        력

- 한양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업(1980)

- 臺灣 復興崗 政治硏究所 정치학석사(1985)

- 한양대학교 대학원 정치학박사(1991)

경        력

학계 경력

- 통일연구원 책임연구원(1991-1995.2)

- 미국 오리건대학교(University of Oregon) 정치학과 초빙교수(2006~2007)

- 한양대학교 국제학대학원 원장(2012.8~2016.6)

- 한양대학교 중국문제연구소 소장(2008.7~2021.2)

- 한양대학교 국제학대학원 중국학과 교수(1997.3~2023.2)

- 한양대학교 국제학대학원 명예교수(2023.3~)

외부 경력
- 현대중국학회 회장(2009.1~2009.12)

- 외교통상부 정책자문위원(2004.8~2008.7)

- 통일부 정책자문위원(2015~2017)

- 동북아연구재단 자문위원(2015~2017)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사외 이사(2018.3~2020.4)

-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 민간자문위원(2018.7~2019.12)

연구분야 중국외교안보, 중미관계, 양안관계, 북중관계
주요논문 “전환기의 중일관계와 대만문제”(2006), “중국의 중남미정책과 중미관계”(2007), “중미관계와 대만문제: 미국의 대 대만정책을 중심으로”(2008), “후진타오 집권기 중국의 대 북한 인식과 정책”(2009), “중국과 대만의 협상제도와 운용 사례 연구”(2010), “중국과 러시아의 전략적 협력과 북한”(2011), “2012년 대만대선과 양안관계 전망”(2012), “중국의 강대국화 전략과 한·일관계”(2012), “제5세대 중국지도부의 출범과 양안관계”(2013), “한중 전략적 협력과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2013), “시진핑 집권 이후 중국의 대북정책: 동맹관계와 정상관계의 선택적 균형”(2014), “민진당의 재집권과 양안관계 전망”(2016), “중러 전략적 협력과 한반도”(2018), “차이잉원의 재집권과 양안관계”(2020)
주요저서

- 『13억인의 미래: 중국은 과연 하나인가?』(1996)

- 『현대중국정치론』(공저)(2005)

- 『중국의 대외전략과 한반도』(2006)

- 『대만문제와 양안관계』(2007)

- 『중국의 부상』(공저)(2008)

- 『북한, 어디로 가는가?』(공저)(2009)

- 『공자는 귀신을 말하지 않았다』(공저)(2010)

- 『한일 신시대를 위한 제언』(공저)(2011)

- 『중화 전통과 현대 중국』(공저)(2012)

- 『한국 대만관계사 1949~2012』(2015)

- 『동아시아 공동번영과 한반도 평화』(2019)

- 『동아시아 공영 네트워크와 한반도 평화』(2022)

학회활동 현대중국학회, 한국정치학회, 한국국제정치학회

 

Photo

유시나류드미라 명예교수Yushina, Lyudmila

 러시아트랙

러시아어학, 러시아 사회문화,
러시아문학

학        력  
경        력  
연구분야  
주요논문  
주요저서  
학회활동  

 

Photo

왕하 교수Wang, Ha

 동북아트랙

중국어학, 언어와 사회, 한중문화교류사

학        력 -남개대학교(南開大學),문학학사(1991.6)
-남개대학교(南開大學),문학석사(1994.6)
-한국외국어대학교,문학박사(2002.2)
경        력

-남개대학교(南開大學),한언어문화대학 전임강사(1994-1996)
-순천향대학교,중어중문학과 원어민전임강사(1998.3–2002.2)
-한양대학교,국제학대학원 중국학과 초빙교수(2002.3–2008.2)
-한양대학교,국제학대학원 중국학과 부교수(2008.3 - 

외부경력
--국제한어교사자격시험 면접관, (2016-)
-南開大學한국동문회 회장(2016-)
-국립국어원 공공용어 번역자문위원회 자문위원(2021-2024)

연구분야 중국어학, 언어와사회, 한중문화교류사
주요논문 -《老乞大》词汇研究琐记,중국연구(2003)
-《老乞大》中"買賣"相關的几組詞的變遷,중국학연구(2004)
-从第二语言教学的角度解析“很+形容词”结构及韩语翻译,중국어교육과 연구(2012)
-《朴通事谚解》中的名量词浅探,중국학연구(2013)
-《老乞大》四版本称谓研究,中韩研究学刊,(2016)
-小議量詞“匹”和“疋”,중국연구(2021)
-從新詞語中的親屬稱謂汎化現象管窺近10年來的中國社會,중국어문학논집(2021)
-从新词语的角度研究中国青年的婚姻观,인문사회과학연구(2022) 
-从语言景观视角探究建大中国街中餐厅牌匾变迁 --以2010-2022年NAVER地图中的牌匾为对象, 중국언어연구(2023)
주요저서 -중국어 첫걸음, 동양문고(2004)
-생활 중국어,래엔 컬처그룹(주)(2010)
-중국어 낭독 훈련,사림in(2012)
-테마별 중국어 고급 프리토킹(개정 4쇄),중국어 뱅크(2015)
-(譯註)『朴通事諺解』,學古房(2012)
-새롭게 다시 쓰는 中国语이야기,차이나하우스(2016)
학회활동 한국외국어교육학회 이사, 한국중국어교육학회 이사, 중국학연구회 이사, 한국중국언어학회 이사,한국중국연구회 명예회장

 

Photo

정세진Jung, Se Jin

 러시아트랙

러시아역사

학        력 한국외국어대학교 노어과 학사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노어과 석사 
모스크바국립대학교 역사학부 박사 (역사학)
경        력 한국경제신문사 기자 (1989.07-1996.03)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교수 (2005.09-2007.08)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HK교수 (2008.03-2009.08)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조교수 (2009.09-2015.08)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부교수 (2015.09-2020.08)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교수  (2020.09 - 현재)
연구분야 러시아역사, 유라시아역사, 러시아, 중앙아시아, 코카서스 지역학 
주요논문 - Religious and spiritual characters of the imamate (2023.03)

- The function and role of the Naib in the era of Shamil (2022.01)

- The Path of Sufi: Idea, Concept, and Meaning (2021.04)

- The Bekovitch Cherkaski’s expedition to Khiva and the Russian Empire’s advance to Central Asia in 18thcentury (2020.07)

- Religious Ideas and Practices in Sufi Orders (2019.06)

- Orientation and formation of Muridism in the North Caucasus. People. Events. Facts.(2019.05)

- Two aspects in the Caucasian war: General Ermolov and Gazavat (2018.11)

- Sharia in the Religious and Philosophical Conception of Sufism (2017.09)

- General Religious Aspects of Mysticism in Sufi Tradition (2017.02)

- 1940년대 스탈린 시기 북카프카스 소수민족 강제이주에 관한 고찰: 체첸-잉구쉬인을 중심으로 (2023.06)
 - 유라시아 사회 변동과 혼돈, 그리고 그 담론에 관한 소고: 소련과 포스트소비에트 시기를 중심으로 (2022.09)
- 소연방과 중앙아시아: 지역정체성과 결정화, 그 역사적 수렴과 발산 (2022.08) 
- 소련의 1924-1929년 중앙아시아 국경 경계 획정과 민족 정체성 함의 : 공동의 정체성에서 개별적 정체성으로 (2021.09)
- 시베리아횡단철도 건설을 둘러싼 역사적 쟁점 소고: 군사·전략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와의 대립적 관점과 한반도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조지아 대외정책의 방향성 : 조지아의 對 EU 및 러시아 관계, 나토 가입 이슈를 중심으로  (2021.02)
- 타지키스탄 이슬람부흥당(IRPT)의 생성, 과정, 그리고 소멸 (2020.12) 
- 조지아 친(親)서방 정향성의 특성과 함의 : 국제관계 및 국내정치적 상황을 중심으로 (2019.05)
-  19세기 ‘중앙아시아철도’ 건설의 역사적 의미장: 러시아제국의 형성과 실크로드의 상업로적 함의를 중심으로 (2019.03)
- 19세기 북카프카스의 평화와 공존에 관한 연구 : 쿤타 하지의 삶과 이슬람 이념을 중심으로 (2018.12)
- 19세기 시베리아횡단철도 건설의 과정과 목적 : 경제적, 산업적 가치를 중심으로 (2018.11)
- 북카프카스 지역의 피의 복수와 아다트 관습법 (2018.05)
- 중앙아시아에서 소비에트의 역사적 유산에 관한 고찰 (2017.12)
- 제정러시아의 철도 역사에 관한 소고 : 시베리아 횡단철도와 중앙아시아 철도를 중심으로 (2017.03)
주요저서 (단독저서) - 중앙아시아 국가 타지키스탄 : 일반개관 · 이슬람 · 국내정치 · 국제관계 (2023.02)


(단독저서) - 코카서스 국가 조지아 : 역사 · 종교 · 국내정치 · 국제관계 (2022.03)


(단독저서) - 쉽게 읽는 중앙아시아 이야기 : 역사 · 문명 · 이슬람 (2022.03)


(단독저서) - 중앙아시아 지역연구와 인문학 : 역사적 문화 요소를 중심으로 (2014.12)


(단독저서) -  러시아 이슬람 : 역사 · 전쟁 · 이념 (2014.03)


(단독저서) - 중앙아시아 민족정체성과 이슬람 (2012.12))


(공저)


- 아시아의 20세기 지역변동과 지역상상 (2023-01)
- 20세기 유라시아 역사 · 문화의 혼돈과 진화 (2022.12)
- 유라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 (2022.07)
- 유라시아 지역의 문화 혼종성과 상호 문화주의 (2021.12)
- 한반도 동북아 평화체제의 정착을 위한 시베리아 인문학의 학적체계 구성 : 지역학적 통섭과 정책 공간 연계 (2021.12)
- 유라시아의 자문화중심경향과 다문화적 변용의 역학 (2020.11)
- 유라시아 역사 문화 : 제국, 권력과 경계 (2019.12)
- 상생과 소통의 유라시아, 그 시원을 찾아서 (2017.06)
- 시베리아 근대성과 소수민족- 시베리아이야기 2 (2017.06)
- 카프카스 역사와 지정학 :전쟁, 분쟁, 그리고 이념(2016.06)
- 러시아제국의 변경에서 - 시베리아 이야기 (2015.06)
- 러시아 근대사 (2014.06)
- 러시아제국과 소비에트 : 이념, 종교, 혁명 (2013.05)
- 역사속의 한국과 러시아 : 상호 인식과 이해 (2013.02)
- 포스트소비에트 20년 중앙아시아의 미래 : 통합가능성과 균열 요인 연구 (2011.12)
- 유라시아의 생활양식과 정체성 II (2011.12)
- 유라시아의 생활양식과 정체성 (2010.07)
- 러시아의 생활양식과 정체성 (2010.07)
- 유라시아 지역의 국가 민족 정체성 (2010.02)
학회활동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연구이사, 감사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회장 (2024년 예정) 
한국노어노문학회 연구이사 
신동엽학회 국제이사 

 

Photo

박영은Park, Young Eun

러시아트랙

러시아 문학과 사상,
유라시아 문화와 예술

학        력 한국외국어대학교 노어과 (학사ㆍ석사ㆍ박사)
러시아국립영화대학교(VGIK) 박사과정 수료
경        력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연구교수 및 책임연구원 (2004.05.01 ∼ 2007.11.30)
- 한국외대, 연세대, 청주대, 광운대, 서울시립대,
   시간강사 (2003.09.01 ∼ 2012.12.30)
-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HK연구교수 (2009.11.01 ∼ 2013.08.30)
-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조교수 (2013.09.01 ∼ 2016.08.31)
-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부교수 (2016.09.01 ∼ 2021.08.31)
-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교수 (2021.09.01 ∼ 현재 )
연구분야 유라시아 문학·영화·철학, 사상 및 문화예술론
주요논문 - “A. Tarkovsky’s Stalker: A Study on the Process of Scenario Transforming the Strugatsky Brothers' Fantasy Novel to the Dostoevsky's Works.” Literature-Film Quarterly, 2022.10.15

- “신화의 땅에서 분쟁의 땅으로: 코카서스의 중핵 ‘나고르노-카라바흐 (Nagorno-Karabakh)’에 대한 인문지리적 성찰.” 『노어노문학』, 2022.06.30

- “Мистическая философия Востока и Запада и ее всеединство, отраженное в фильмах Андрея Тарковского.” Slavia Centralis, 2021.11.30

- “Художественная трансформация идеологии Пьера Тейяр де Шардена в произведениях Анатолия Кима.” Slavia, 2021.06.01

- “라브렌찌 송의 ˂약속의 땅˃에 반영된 고려인 디아스포라의 집단기억과 정치·문화사적 재현 메커니즘.” 『국제한인문학연구』, 2021.04.30
 
- “A Study on the Literary Activities and Performing Arts of Soviet Korean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 Focusing on the anti-Japanese struggle and the cultural transformation of ethnic consciousness -.” 『아시아연구』. 2021.02.28

- “유라시아 문화지형도 내 한민족예술의 다문화적 접변 양상 고찰: ‘홍범도 장군’ 콘텐츠의 OSMU 방식을 중심으로.” 글로벌문화콘텐츠, 2020.08.31

- “Идеи неоплатонизма и Дионисия Ареопагита в фильме «Андрей Рублев».” Вестник ВГИК, 2020.08.30

- “포스트소비에트 국가정체성 구축 프레임과 세계화의 교차로에 선 ‘카자흐스탄 청년세대’.” 아시아지역리뷰: 다양성+Asia, 2020.03.30
 
- “고려극장에서 상연된 중앙아시아 희곡의 역사·문화·예술사적 지형도 연구 - 문화 접변(接變)과 습합(習合)을 통한 시대적 수용과 변용 양상을 중심으로 -.” 『슬라브학보』. 2019.06.30

- “한-우즈베키스탄 영상문화협력 현황 및 영화테마 발굴과 진흥을 위한 제언.” 『아시아연구』. 2019.05.31

- “아르메니아 제노사이드 영화의 벡터와 지형도 연구 -기억의 정치학과 트라우마 치유의 미학성을 중심으로-.” 『현대영화연구』, 2019.05.23
 
- “러시아 극동 한인문학의 정초(定礎)와 문학지리학(literary geography).” 『노어노문학』, 2017.12.30
 
- “The Influence of Konstantin Tsiolkovskii on Russian Culture.” ZEITSCHRIFT FUR SLAVISCHE PHILOLOGIE, 2017.08.01

- “한-아르메니아 문화교류 현황 및 문화사업 공동 진흥을 위한 제언.” 『노어노문학』, 2017.06.30
I
- “튀르크 전설 ‘만쿠르트(Mankurt)’의 원형(元型)과 스토리텔링의 변용을 통해 본 중앙아시아의 정체성 모색.” 『문학과 영상』, 2015.12.30

- “앙리 베르누이(Henri Verneuil)의 자전 영화를 통해 본 아르메니아 제노사이드의 상흔과 디아스포라의 양상.” 『영화연구』, 2015.12.23

- “한-카자흐스탄 문화협력을 통한 박근혜 정부의 인문정신문화 진흥을 위한 제언.” 『아시아문화연구』, 2015.09.30
주요저서 - 『유라시아 지역의 문화 혼종성과 상호문화주의』 (공저), 민속원, 2021.
 
- 『메가아시아 시대, 청년을 말하다』 (공저)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21.

- 『유라시아의 자문화중심 경향과 다문화적 변용의 역학』 (공저), 민속원, 2020.

- 『유라시아 역사, 문화: 제국, 권력과 경계』 (공저), 민속원, 2019.
 
- 『도스토옙스키, 촛불 집회에 가다』 (단독), 탐: 토토북, 2018.
 
- 『Hallyu Now 러시아 한류 심층분석』 (공저).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KOFIC), 2018.
 
- 『카프카스와 중앙아시아 문화연구』 (공저). 민속원, 2017.
 
- 『유라시아주의의 재해석: 새로운 인문지리로서의 유라시아』 (공저), 민속원, 2016.
 
- - 『러시아문화와 우주철학: 진화와 상생의 열린 소통을 위한 통합의 인문학』 (단독), 민속원. 2015.
학회활동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편집위원
한국러시아문학회 편집위원
한국 슬라브유라시아학회 편집위원
한국노어노문학회 편집이사
한국영화학회 국제학술이사

 

Photo

김영진Kim, Young Jin

 러시아트랙

러시아 정치경제, 유라시아 지역경제,,
비교경제제도

학        력  
경        력  
연구분야  
주요논문  
주요저서  
학회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