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EP-한양대 국제 대학원 공동 지역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은 한국의 지역 연구를 담당하는 국책 연구기관인 대외 경제 정책 연구원(KIEP: Korea Institute
of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이하 KIEP)과 상호 협력하여, 공동 강좌 운영, 특별 초청 강연, 지연 연구 및 학생 장학 프로그램 그리고 인턴십 및
현장조사에 대한 장학금 및 재정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중앙 아시아, 몽골 및 러시아 포함한 특정 지역 및 국가를 연구하려는 학생들을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한양대학교 국제학 대학원은 KIEP가 보유하고 있는 경제 및 통상 연구 역량과 대학원이 갖고 있는 교육 특성을 통합하여 Global Korea의 가치를 높이고,
국가 경제에 중 장기적으로 이바지 할 수 있는 지역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2008년부터 ‘KIEP-국제학 대학원 공동 지역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GPAS: Graduate Program for Area Studies)을 설립 • 운영하고 있습니다.
대상 | [GPAS-중앙아시아 몽골] | [GPAS-러시아] |
---|---|---|
수업방식 | 한양대학교 국제대학원 재학생 | |
과정수료 학점 | 국제학대학원 정규 과목 이외에 중앙아시아 지역전문가 과정 과목 수강 |
재학 중 국제학대학원 러시아 지역전문가 과정 4과목이상 수강 |
수료증 | 졸업 전까지 4과목 이상, (평점 B+)이상 | |
장학금 | KIEP-GSIS 공동 명의의 <중앙아시아 지역전문가 과정> 수료증 발급 |
KIEP-GSIS 공동 명의의 <러시아 지역전문가 과정> 수료증 발급 |
GPAS 사업관련 지역 교과목 |
중앙아시아∙몽골 국제관계론 중앙아시아∙몽골 지역관계론 중앙아시아∙몽골 역사와 문화 중앙아시아∙몽골 에너지자원경제론 카자흐스탄 경제론 우즈베키스탄 語 우즈베키스탄 경제론 중앙아시아∙몽골 건축전략 중앙아시아∙몽골 물류경제론 중앙아시아∙몽골 비교정치체제론 중앙아시아∙몽골 투자환경과 진출전략 중앙아시아∙몽골 지역경제 및 통합론 |
러시아 정치경제학 러시아 기업경영론 러시아 극동개발정책 러시아 연구특강 I, II, III 러시아 경제현안세미나 I, II 러시아 투자환경과 전략 러시아 |
Field Station 활용 |
학위과정 학생들에게 HK연구교수의 해외 현지조사 활동에 함께 참여시킴으로써 유라시아 지역에 대한 생생한 정보와 실제적 지식을 터득할 기회를 제공한다. |
|
Eurasia Hub자료제공 및 사이버 강의 제공 |
아태지역 연구센터의 Eurasia Hub (유라시아 종합정보포털) 자료 이용이 가능하며 유라시아교육원에서 제공하는 사이버강의를 통해 유라시아 지역에 관한 종합정보를 이용한다. |
|
자료이용 | 수강생들은 아태지역 연구센터에 소장하고 있는 각종 연구 자료들을 이용하고, 다양한 학술회의 및 포럼에 참여한다. |
대상 | GPAS 참여 대학원생 지원자 중 선정 |
---|---|
운영 |
|
기대효과 |
|
해외현지조사 |
|
대상 | GPAS 참여 학생들을 주축으로 러시아, 몽골, 중앙아시아를 포함한 유라시아 지역 동향을 연구•분석하는 스터디그룹 |
---|---|
운영 | 자발적인 지역연구모임인 유라시아 지역연구회는 학생들로 하여금 직접 주제를 선정, 발표하게 하고 이를 논문으로 발전시켜 자체적인 학술지를 발간하게 함으로써 미래 지역전문가로서의 학문적 소양과 연구역량 및 자신감을 갖게 하는데 기여 |
기대효과 | 유라시아 지역 연구에 관심이 있는 국제학대학원생 |
해외현지조사 |
|
성격 | 해외학자 초청 국제학술회의 및 강연 또는 전문가 초청 실무특강의 형태 |
---|---|
목적 |
|